- 받아쓰기 쑥쑥 학습지

18. 'ㄷ'으로 소리 나는 받침

풀꽃선생님 2022. 6. 10. 18:05

ㄷ소리가 나는 받침

ㄷ, ㅅ, ㅆ, ㅈ, ㅊ, ㅌ, ㅎ 받침

  '낫'과 '낮'의 종성은 [낟]처럼 ㄷ으로 소리 납니다. ㅅ과 ㅈ뿐만 아니라 ㄷ, ㅆ, ㅊ, ㅌ, ㅎ도 받침으로 쓰일 때는 ㄷ으로 발음됩니다. 이렇게 소리는 모두 ㄷ으로 나는데, 표기하는 자음은 다 다르다 보니 받침을 실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컨대 돋보기와 돗자리는 첫음절이 모두 [돋]이라고 소리 나므로, '돗자리'도 ㄷ받침으로 쓰는 학생이 종종 있습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이처럼 학생들이 아리송해하는 ㄷ받침 가족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ㄷ 받침 가족
틀린 글자 발견하기

 

  먼저 위 사진에서 틀린 글자를 찾아 고쳐보시기 바랍니다. 찾으셨나요? 꽃 모양 빈칸에 적힌 표기를 바르게 고치면 '걷다가', '돗자리', '숟가락'이 됩니다. 숟가락도 젓가락처럼 ㅅ받침으로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ㄷ받침으로 써야 옳습니다. 아래는 이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정리하여 아이들에게 제시한 내용입니다. ㄷ을 대표음으로 쓰는 낱말은 그 개수가 많기 때문에 이번 시간에는 ㄷ, ㅅ, ㅆ 3개만 다루고, 나머지는 다음 시간에 이어서 다룰 예정입니다. 

ㄷ 받침가족
오늘의 맞춤법 18

'쓰레받기'의 바른 표기 (받이와 구분하기)

  청소 도구를 구입하다 보면 쓰레받기를 '받이'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는 물받이, 꽃가루받이처럼 '이'로 끝나는 낱말이 많기 때문에 헷갈리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물받이는 '이'로 쓰면서 쓰레받기는 '기'로 쓰는 것일까요? 그 까닭은 쓰레받기는 오랫동안 사람들이 '받기'로 발음하면서 이렇게 굳어진 말이기 때문입니다. 마치 짜장면의 표준어는 '자장면'이었는데 많은 사람들이 '짜장면'으로 부르는 까닭에 '짜장면'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아직도 '받기'와 '받이'가 헷갈린다면, 구개음화를 떠올리면 쉽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 구개음화란 받침 ㄷ이 '이'를 만나면 ㅈ으로 소리 나는 현상을 뜻합니다. 따라서 쓰레 '받이'는 구개음화에 따라 [쓰레 바지]로 소리 나고, 쓰레 '받기'는 [쓰레받끼]로 발음됩니다. 우리는 평소에 [바지]로 발음하지 않고 [받끼]로 발음하므로 '쓰레받기'가 옳은 표현입니다. 아래는 학생들이 종종 틀리는 낱말을 분석하여 만든 활동지이니, 필요하신 경우 아래 파일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받아쓰기 칸
받아쓰기 문항

'낫다'의 바른 표기

  학생들이 '낫다'를 '낳다' 또는 '났다'와 헷갈려하는 이유도 ㅅ, ㅎ, ㅆ 모두 종성에서 대표음인 ㄷ 소리가 나기 때문입니다. 이 낱말들은 고유어이므로 뜻을 외우고 예문을 자주 접하다보면 자연스레 익힐 수 있습니다. 먼저, '낫다'의 첫 번째 의미는 병이나 상처가 치유되는 것을 뜻합니다. '병을 낫게 해주는 약', '감기가 빨리 낫지 않는다.'처럼 쓰입니다. 두 번째는 비교하는 상황에서 더 앞서 있다는 의미로, '바꾼 인테리어가 이전보다 훨씬 낫다.', '이 조명이 더 낫다.'처럼 사용합니다.

  반면, 낳다는 아이를 낳거나 어떤 결과를 가져온다는 의미입니다. '좋은 결과를 낳다.', '닭이 알을 낳았다.' 등처럼 사용됩니다. '났다'는 '나다'의 과거형으로 '발가락에 상처가 났다.',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났다.'와 같은 맥락에서 사용합니다. 이번 받아쓰기에서는 '낫다'만 다루지만, 추후 활동지에서는 학생들이 많이 혼동하는 낱말을 다뤄 보겠습니다.

 

받아쓰기 18. 돋자리 vs 돗자리.pdf
0.47MB

 

 

ㄷ 받침이 들어간 낱말 예시

  ㄷ받침을 쓰면서, 끝소리(종성)가 ㄷ소리가 낱말은 아래와 같습니다. 해돋이, 미닫이, 믿음과 같은 낱말은 최종 발음에서 ㄷ소리가 나지 않으므로 제외하였습니다. 주로 동사에 많이 쓰입니다.

걷다 닫다 돋다 듣다 묻다
믿다 받다 반짇고리 싣다 얻다
쏟다 돋보기 돋보이다 디귿 숟가락

 

ㅅ 받침이 들어간 낱말 예시

  ㅅ받침이 사용된 낱말이면서 음절의 끝소리가 ㄷ인 낱말의 예시입니다. 

덧셈 햇사과 풋고추
시옷
어느덧 젓갈 젓다 삿갓
이것 저것 그것 잇다 짓다
잘못 로봇 솟다 잠옷

 

ㅆ 받침을 사용하는 낱말 예시

  ㅆ 받침이 들어간 낱말이면서 종성에서 ㄷ소리로 발음되는 낱말은 아래와 같습니다. 크게 과거형(지나간 일을 나타내는 형태) 낱말과 과거형이 아닌 낱말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과거형 낱말

갔다 샀다 했다 배웠다 줬다
졌다 같았다 졌다 이겼다 껐다
켰다 잠갔다 들었다 놀았다 먹었다

2) 과거형이 아닌 낱말

있다 맛있다 재미있다 멋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