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1

9. '배게 베개' 헷갈리는 맞춤법 알아보기

'배게', '베개', '배개' 구분하기  초등학생들이 가장 많이 틀리는 맞춤법이 무엇일까요? 교육 출판 전문 기업 '좋은책신사고'가 2016년 조사한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 320명 중 64%가 'ㅔ'와 'ㅐ'를 가장 헷갈려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저도 교육 현장에 있다 보니, 이 사실을 참 많이 느끼는데요. 얼마 전, 스승의 날을 맞아 학생들이 써준 편지에서도 이 오류를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3~4학년 학생 모두 '잘 지내세요.'라고 적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받아쓰기에서는 'ㅐ' 모음과 'ㅔ' 모음이 들어간 낱말 중 어린이들이 가장 많이 틀리는 글자를 모아봤답니다. 어떤 낱말은 맞춤법에 속하지 않아 외워야 할 것도 있어요. 접미사 '-개' 이해하기'베개'의 표기 방법이 헷갈리지 않으려면, 먼저 낱말에 ..

맞춤법 2022.05.14

8. '대 데' 차이 쉽게 이해하기

'-대요'와 '데요' 쓰임 이해하기  모음 '대'와 '데'의 표기법은 학생들이 가장 흔히 범하는 맞춤법 오류 중 하나입니다. 학생들이 쉽게 혼동하는 이유는 모음 'ㅐ'와 '에'의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여덟 번째 받아쓰기를 통해 '-대'와 '-데'의 차이를 명확히 설명하고자 합니다. 1. '-대'는 다른 사람이 말한 내용을 전달할 때 사용  '다고 해'를 줄여 쓴 말로, 다른 사람에게 들은 사실을 상대방에게 전달할 때 쓰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오늘 급식에 치킨 나온대.'와 같은 문장은 제삼자가 말한 것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상황입니다. 이 경우에는 '~다고 해.'의 줄임말인 '-대'를 사용하는 것이 올바릅니다.  또한, '-대요'는 '-다고 해요.'의 준말이며, 주로 구어체에 사용됩니다..

맞춤법 2022.05.12

7. '에요 예요' 쉽게 구분하는 법

'이에요 vs 예요' 구분하기어버이날을 위해 학생들이 쓴 편지를 고쳐주다보니, 학생들이 '에요'와 '예요'를 참 구분하기 어려워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받아쓰기에서는 '에요'와 '예요'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려 합니다. 1. 받침으로 구분하기'-에요'는 설명 및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써, '이다', '아니다'의 뒤에 붙어 '이에요', '아니에요'와 같이 쓰이는 낱말입니다. 즉, '이에요'가 원형이지만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받침이 없는 명사, 대명사 등)에서는 '예요'로 줄여씁니다. 학생들에게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받침이 있는 낱말 뒤에는 '이에요'를 씁니다.선물이에요.꽃이에요.연필이에요.반면, 받침이 없는 낱말 뒤에는 '예요'를 씁니다.편..

맞춤법 2022.05.09

6. 헷갈리는 맞춤법 '했는대 vs 했는데'

대vs데많은 학생들이 헷갈려하는 '대'와 '데'를 구분하는 방법을 6강에서 알아보려 합니다. '데'를 사용하는 경우는 여러 가지 이지만, 이번 받아쓰기에서는 일상 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다. 그런데'의 줄임말로 사용되는 '데'에 대해 배웁니다. '그런데' 의미를 담고 있는 '데'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했는데', '있는데', '좋았는데', '먹었는데'와 같은 말은 모두 '그런데'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했는데 = 했다. 그런데있는데 = 있다. 그런데좋았는데 = 좋았다. 그런데먹었는데 = 먹었다. 그런데'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이를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ㄴ데1.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ㄹ’ 받침인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사오-’ 따위 뒤에 ..

맞춤법 2022.05.03

기초 수채화 활동 ppt: 붓 잡는 법, 수채화 표정 만들기 활동

수채화 기초 안녕하세요, 풀꽃선생님입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저희 반에서 수업한 기초 수채화 활동을 소개해드리려 해요. 수채화 첫 시간에는 뿌리기, 번지기, 불기 등의 활동으로 수채화와 친해지는 시간을 가졌다면, 이번 시간에는 붓을 쥐는 법이나 물 조절하기 등의 기본적인 수채화 하는 방법에 대해 배워보았답니다.붓 잡는 법먼저 학생들에게 붓을 잡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었어요. 아래 그림의 왼쪽 붓처럼 붓 끝이 쇠로 된 붓을 가진 학생은 쇠의 경계 부분에 붓을 쥐도록 안내했고, 오른쪽 붓처럼 다홍색 띠가 있는 붓(=화홍 수채화붓)은 띠가 있는 곳을 잡도록 지도했어요. 수채화 기법에 따라 붓을 멀리 잡기도 하지만, 초급자가 처음 수채화를 할 때에는 가까이 잡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여 이렇게 지도했어요. 그리고 방..

반듯한 글씨를 도와주는 <바른 글씨 쓰기 대회>

글씨 쓰기 대회바른 글씨 쓰기 대회제가 매년 학기 초 실시하는 바른 글씨 쓰기 대회에 대해 소개드리고자 합니다!글씨는 왜 반듯하게 써야 할까요?   얼마 전 유 퀴즈에 국내 1호 필적 학자 구본진 박사님께서 나와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서예를 하는 이유가 인격 수양이라고 말하듯, 글씨 연습으로 내면을 바꿀 수 있다고요. 즉, 글씨 연습은 학생들의 소근육과 미세 움직임 조절 능력을 길러줌과 동시에, 학생의 끈기와 인내 등의 내면을 함께 길러줄 수 있습니다. 무엇이든 빨리 해치워 버리려는 성향을 가진 아이는 침착함과 노력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학생들은 정말로 달라진 자신의 글씨를 보면서 성취감과 보람을 느끼고, 이는 학습에 대한 자신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글씨 연습은 저학년 때 많이..

현장체험학습 안전교육

현장체험학습 안전교육 활동지안녕하세요. 풀꽃선생님입니다😊저희 반 학생들의 안전한 현장체험학습을 위해 안전교육을 하여 내용을 공유합니다.  1. 이렇게 입어요: 학생들에게 치마 보다는 바지, 슬리퍼 보다는 운동화를 신도록 안내합니다. 당연히 알고 있는 상식이라고 생각하지만 종종 슬리퍼를 신고 오거나 불편한 치마를 입고오는 학생이 있기에 꼭 지도하려 합니다. 현장체험학습에서는 오래 걷거나 활발한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기에 슬리퍼보다는 운동화를 신고올 수 있도록 안내해 줍니다. 그리고 햇볕이 강한 날에는 모자를 써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모자가 없는 경우 선크림을 꼼꼼히 바르고 올 수 있도록 이야기 해 줍니다. 2. 이동할 때는: 질서있게 행동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아이들이 학교 밖을 ..